메뉴 건너뛰기

EROOM ENGLISH

Grammar 101

대명사
uthleader 2020.09.20 14:35:47
149

계속 업데이트 되는 포스팅입니다.

여러분도 아시는 내용이 있다면 댓글에 추가해 주세요.

본문에 업데이트시 추가해 주신 분의 닉네임을 표시해 드립니다. 

 

문장에서 어휘의 순서를 마음대로 쓰는 것이 아니라, 이미 결정되어 있는 순서로만 써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Old Information(구정보) / New Information(신정보)에 대한 개념 정리가 필요합니다. 

 

Old Information(구정보)란 말 그대로 오래된 정보, 이미 주어진 정보, 화자(Speaker)와 청자(Listener)가 모두 알고 있는 정보를 의미하며, 뒤에 이어지는 New Information(신정보)에 대한 전제가 됩니다.  

 

그리고 이후에 예시를 통해서 알려드리겠지만, 신정보는 문장의 뒷쪽에, 구정보는 문장의 앞쪽에 두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01 - 이어동사(타동사+부사)에서 목적어가 대명사(구정보)일 때

pick up이라는 이어동사의 목적어로 me가 온다면 

(1) pick me up (O)

(2) pick up me (X)

∵ me가 구정보이기 때문에 부사보다 선행됩니다.

 

#02 - 4형식 문장에서 직접목적어가 대명사(구정보)일 때

(1) He gave John it. (X)

(2) He gave it to John. (O)

∴ 직접목적어가 구정보이기 때문에 it을 앞으로 전치시키고, 3형식구조로 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03 - 행위자가 신정보인 문장의 경우, 능동태보다는 수동태가 일반적이다. 

 

#04 - Non-referential 'There' 

"사과 하나가 탁자 위에 있습니다."를 영작하면, 아래의 문장을 쓸 수 있습니다.

(1) There is an apple on the table.

(2) An apple is on the table. 

두 문장 중에서는 (1) 문장이 더 일반적으로 쓰는 문장입니다. 왜냐하면 부정관사 an과 함께 쓰인 an apple은 신정보이고, 신정보가 문두에 쓰이는 것을 피하기 위해 Non-referential 'there'을 쓰는 것이죠. 

 

#05 - 부사구 전치

(1) 주어가 대명사(구정보)일 경우에는 부사구가 전치되어도, 주어와 동사가 도치되지 않습니다.

(2) 주어가 신정보인 경우에는 부사구가 전치되면, 주어와 동사를 도치시켜야 합니다.

 

관련된 정보나 예문을 이후에 계속 추가하겠습니다.

위로